자유게시판

29개월 언어 지연과 자폐 스펙트럼 초기 징후, 꼭 알아야 할 점

2 동네형 0 3 02.10 03:20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29개월(만 2세 5개월)이 되었는데도 아이가 또래에 비해 말을 잘 하지 못하거나 언어 발달이 느린 경우, 부모로서는 걱정이 많을 수 있습니다. 이 시기의 언어 지연이 단순한 발달 속도의 차이인지, 혹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초기 징후일 가능성이 있는지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조기 발견과 조기 개입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2세 전후의 시기에 나타나는 신호들을 잘 관찰해야 합니다. 29개월 아이가 언어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행동 패턴에서 다른 특이점을 보인다면 전문가의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에서는 29개월 언어 지연과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자폐 스펙트럼 초기 징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부모가 주의해야 할 점과 조기 개입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29개월 언어 지연, 정상 범위일까?

29개월 아이가 말을 잘하지 못한다고 해서 무조건 문제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언어 발달은 아이마다 차이가 있으며, 특히 환경적 요인과 개별적인 성장 속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 언어 지연이 의심되는 경우

  • 단어 수가 10개 이하이며 새로운 단어를 배우는 속도가 느리다.
  • 두 단어 문장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예: "엄마 우유", "차 가")
  • 말을 배우려고 하지 않거나 옹알이조차 줄어들었다.
  • 의사소통을 몸짓에만 의존하며, 말보다는 손짓이나 울음으로 표현한다.
  • 이름을 불러도 반응하지 않거나, 청각에 이상이 있는 듯 보인다.

### ### 정상 발달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 단어 수가 적지만 상황에 맞게 사용하려고 노력한다.
  • 부모의 말을 이해하고, 간단한 지시를 따를 수 있다.
  • 말을 하지 않아도 손짓, 표정, 몸짓 등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하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언어 지연과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차이

언어 지연이 단순한 늦된 발달인지, 아니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일부인지 구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 ### 단순 언어 지연의 특징

  • 사회적 상호작용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
  • 말은 느리지만 제스처와 표정이 풍부하다.
  • 부모와의 애착 관계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 놀이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다. (예: 역할 놀이, 모방 놀이)

###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초기 징후

  •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거나 무관심하다.
  • 부모, 또래와의 눈 맞춤이 거의 없다.
  • 다른 사람의 감정에 둔감하거나 공감하는 반응이 부족하다.
  • 특정한 장난감이나 사물에 과도한 집착을 보인다.
  • 같은 행동(손 흔들기, 몸 흔들기 등)을 반복하는 상동 행동이 많다.
  • 환경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일상의 루틴이 깨지면 불안해한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29개월 아이가 보이는 자폐 스펙트럼 초기 신호

29개월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보이는 경우, 언어뿐만 아니라 행동 및 사회성 발달에서도 여러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1. 사회적 상호작용 부족

  • 눈을 맞추지 않거나, 부모와의 교감이 적다.
  • 다른 사람과 놀이하는 것을 피하고 혼자 노는 것을 선호한다.
  • 주변 상황에 관심이 없고, 타인의 감정 변화에도 무관심하다.

### ### 2. 의사소통 어려움

  • 말을 거의 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같은 말을 한다.
  • 질문에 대한 답을 하지 않거나, 문맥에 맞지 않는 말을 한다.
  •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행동(지시)이 부족하며, 필요한 것을 직접 가져온다.

### ### 3. 반복적인 행동 및 감각 민감성

  • 특정한 장난감이나 물체를 계속 만지거나, 배치에 집착한다.
  • 같은 단어나 문장을 반복하는 반향어(에코리아)가 나타난다.
  • 소리, 빛, 촉감에 예민하게 반응하거나, 반대로 둔감할 수 있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조기 개입이 중요한 이유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경우 조기 진단과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3세 이전에 개입하면 언어 및 사회성 발달을 도울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집니다.

### ### 조기 개입 방법

  • 언어 치료: 언어 발달을 돕기 위해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다.
  • 행동 치료: ABA(응용행동분석)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행동 개선을 유도한다.
  • 사회성 훈련: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늘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 부모 교육: 가정에서도 아이의 발달을 돕는 방법을 배운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부모가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처 방법

부모가 집에서 아이의 언어 및 사회성 발달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 1. 대화 자극 늘리기

  • 아이가 관심 있는 것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를 나눈다.
  • 짧고 간결한 문장으로 질문과 대답을 유도한다.

### ### 2. 놀이를 통한 의사소통 강화

  • 역할 놀이, 상호작용이 필요한 보드게임 등을 활용한다.
  • 다른 아이들과의 놀이 시간을 적극적으로 마련한다.

### ### 3. 일관된 반응 보이기

  • 아이가 말을 하려 할 때 반응을 보이고 격려한다.
  • 지나친 TV 시청을 줄이고, 부모와의 직접적인 소통 시간을 늘린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결론

29개월 아이의 언어 지연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이 있는지 걱정된다면, 단순한 말 느림인지 아니면 사회성 및 행동 패턴에서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조기에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개입을 하면, 아이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 상담과 조기 개입을 고려하면서도, 아이의 현재 상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꾸준한 지원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8bf628be93921555f5918729ef1c38f_1739125

*** 불펌 무단복제 이미지 캡쳐를 금지합니다 ***

, , , , , , , , ,

Comments

글이 없습니다.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구글플러스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네이버밴드에 공유